원심력과 구심력에 호기심을 두고 창작된 작품이다. 코드세시의 시각으로 제작한 오브제를 활용하여 ‘돌다.’, ‘구르다.’의 움직임을 “돌아버리겠다.”는 현실에 빗대어 표현하였다. “돌아버리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도망치거나 머물러 있기보다 직시하고 즐길 수 있다면, 전보다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 This performance is inspired by curiosity about centrifugal and centripetal forces. Utilizing objects produced for Code.Sassy, "turning" and "rolling" movements are expressed as they allude to the "dizziness" of reality. This work begs the question: “If you face a situation that causes dizziness, instead of running away or freezing, wouldn't facing it head on and enjoying the experience make you happier than before?” “when life gives you lemons, make lemonade!”
수상한 의사들이 움직이는 병원에서 펼치는 코믹 음악극이다. 락앤롤 음악과 함께 움직이는 무대는 병원이 되고, 그 속에서 두 의사가 수상한 진료를 시작하는 내용이다. 기괴한 상상력과 강렬한 사운드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Lala-Rock 'n' roll Clinic" is a musical comedy unfolding in a moving hospital with strange doctors. The stage represents the hospital, and it moves along to rock and roll music. Inside, two doctors start giving the patient strange treatments. "Lala-Rock 'n' roll Clinic" stands out with its bizarre creativity and intense sound.
‘마당-인터렉션’은 현대안무가 ‘김재덕’과 브레이킹 그룹인 ‘엠비 크루’가 2020년 선보였던 ‘마당’을 안산의 거리에 엠비 크루의 스타일로 새롭게 재구성한 작품이다. 공간 속 사물과 특성을 고려한 움직임으로, 공간과 몸의 상호작용을 불러일으키며 세상을 관조하게 한다."본 작품은 서울문화재단 '서울시 대표 비보이단'사업에서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Madang-Interaction" reconstructs "Madang", showcased in 2020 by modern dance choreographer Kim Jae Duk and breakdance group "M.B Crew ", for the streets of Ansan with M.B Crew 's signature style. Through movements incorporating objects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space, this work brings about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body to make the spectators contemplate the world.
“기억이라는 가이드북을 펼쳐본다. 떠나간 사람들을 읽어 본다.” 팝업북 전시와 그림자극 공연이 연계된 작품으로, 주간에는 종이로 만들어진 동네를 팝업북으로 전시하고 야간에는 낯선 방문객의 이야기를 그림자극으로 공연한다. “Open the guidebook called memory. Read about the people who are gone.” This work combines a pop-up book display and a shadow play. A village made of paper is displayed as a pop-up book by day, and the story of an unfamiliar visitor is performed as a shadow play by night.*공연 전 150분 동안 전시가 있습니다.* There is an exhibition for 150 minutes before the performance.
진정한 집의 의미를 찾아 도시를 표류하는 이방인의 이야기를 담은 이동형 거리극이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낯선 이의 여정에 따라 도시에 숨겨진 집의 기억과 흔적들을 발견하고, 낯선 이가 쌓아 올리는 안산 도심 속 모델하우스를 통해 각자에게 집이 어떤 의미인지 묻는다."Model House" is a promenade theatre portraying the story of a foreigner drifting through the city in search of the true meaning of home. Through the journey of this stranger, we discover the memories of a home hidden throughout the city. Through the model house that the stranger builds in Ansan, we ask what home means to every one of us.
숲과 연결되는 자연 속 생명체를 젊은 감각의 그래피티(tagging)로 표현한 작품이다. 숲에는 인간도 존재하지만 아무도 상상하지 못하는 미생물도 있다. 다양한 생명체들이 숲에서 조화롭게 살아가는 모습을 그래피티, 젊은 감각의 스케이트보드, 안산만의 독특한 매력을 살려 표현했다.This artwork expresses the natural creatures connected to the forest through young and vibrant graffiti(tagging). In the forest, not only humans but also microorganisms exist that no one can imagine. The artwork portrays various creatures living harmoniously in the forest, utilizing graffiti with a youthful touch, skateboards, and the unique charm of Ansan.
장애인 무용수와 비장애인 무용수가 함께 춤춘다. 이본 라이너의 트리오A>를 휠체어에 탄 움직임으로 ‘번역’함으로써 어떤 움직임이든 춤이 될 수 있다는 움직임의 평등을 현시하고, 무용의 역사에서 춤추는 몸이 어떤 몸으로 상정되어왔는지 질문한다.Disabled and non-disabled dancers dance together in this piece. By "translating" Yvonne Rainer’s "Trio A" into movements in a wheelchair, "Becoming-dancer" pushes for equality in movement and demonstrates that any movement can be a dance. In doing so, the performance asks what bodies have been considered acceptable throughout the history of dance.
소규모 사회는 함께 앉아 있는 것만으로 작은 규모로 사회가 만들어지는 협동 가구이다. 더 큰 규모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경우 함께 앉아 있는 것과 같은 조화로운 공존은 모든 구성원이 상호 간의 마음 챙김을 실천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앉거나 움직이거나 일어서거나 몸을 앞뒤로 기울일 때 다양한 수준에서 지속적인 의사소통 흐름이 필요하다. 혼자서 사회를 만드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하지만 함께하는 사람의 수가 늘어나면 자연스럽게 균형감과 평형감이 생기는 경우가 많은데, 개인이 갑자기 소규모 사회를 떠나거나 의도적으로 방해 행위를 할 경우 이러한 균형감과 평형감은 빠르게 사라진다. 소규모 사회는 사회 연구를 위한 가장 작은 학술적 의자이다. 이 의자는 사람들이 서로 사이좋게 앉아 있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서로를 인식하고 어쩌면 서로를 알게 됨으로써 사회적으로 앉아 있도록 유도한다. The Small Society is a cooperative piece of furniture, where a society is created on a small scale simply by sitting together. Just like on a bigger scale, harmonious coexistence (as in this case by sitting together) works only if all members practice mutual mindfulness. Whether sitting down, moving around, standing up, leaning forward or backward, a constant flow of communication at different levels is required.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create a society on one's own. Yet, 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creases, there is often a feeling of natural balance and equilibrium, which quickly evaporates when individuals abruptly leave the Kleine Gesellschaft or even deliberately sabotage it. The Kleine Gesellschaft is the smallest academic chair for social studies. It doesn't only invite people to sit sociably, but socially by becoming aware of each other and perhaps even by getting to know each other.
기후위기 시대를 살아가는 개인의 내면에 휘몰아치는 혼란과 혼돈을 시(時)적 상상력으로 엉뚱하게 그린 작품이다. ▲엉켜버린 생각 ▲불확실한 사회구조와 제도에 대한 불신 ▲자기 불신과 자기기만 ▲아무런 믿음 없이 맴도는 의혹의 악순환 등 모든 것이 수상하게만 느껴지는 세상을 바라보는 개인의 내면적 갈등을 깊이 들여다보고 유쾌하게 드러냄으로써 우리 사회의 부조리함에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El Nino in Suspicious Land" is a performance depicting the times of confusion and chaos raging inside an individual in this era of the climate crisis. In an era of climate crisis when no news seems trustworthy, individuals are overcome with internal conflict due to a vicious cycle of ▲muddled thoughts, ▲distrust of uncertain social structures and systems, ▲distrust and deception of themselves, ▲and hovering suspicions unmitigated by trust. By exploring and unveiling these personal inner conflicts, "El Nino in Suspicious Land" questions the corruption in our society.
황해도 지역의 탈춤 미얄영감과장을 현대적인 이야기로 재구성한다. 재담과 노래, 음악이 함께하는 하는 한국형 뮤지컬이다. 당대의 음악 위에서 탈춤으로 요즘 사랑의 세태를 보여준다. It is a Korean musical that reinterprets the traditional Hwanghae Province mask dance, MiyalYeonggamGwajang, into a modern story. It is a Korean-style musical with jokes, songs, and music. It shows the current state of love with mask dance on top of contemporary music.
“어머니.. 당신의 인생이 바로 서커스네요.” 어머니의 인생을 서커스를 업으로 하는 아들의 눈을 빌려 서커스적 철학으로 접근하는 공연이다. 서커스 무대처럼 화려하지 않지만 충분히 서커스처럼 화려한, 격변하는 사회 속에서 생존을 위해 분투하는 어머니의 인생을 다룬다."Mother... your life is indeed a circus.“"What is your circus, Mom?" is a performance that utilizes circus philosophy as its approach. It looks at a mother's life through the eyes of a son who works in the circus. The performance deals with the life of a mother who struggles to survive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that may lack the charm of a circus stage but is every bit a spectacle like the circus.
“우린 귀엽지 않아, 우린 아주 진지해.” 나무 아래 나타난 정체 모를 흰 덩어리들이 작은 피켓을 들고 있는 설치 작품이다. 관객은 피켓 속 QR코드를 통해 이야기를 살피며, 이들이 누구이고 왜 여기에 왔는지 알아갈 수 있다."We're not cute, we're very serious." "House of We Trees" is an installation in which mysterious white lumps stand under a tree holding small signs. Spectators learn who the white lumps are and why they are there by examining their stories through the QR code on the sig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