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격한 형식과 규율로 점철된 유교 음악에 레이브와 트랜스의 청 각적 어법을 결합한 해파리의 트랙들은 정제된 가무악에 숨겨져 있던 팝의 면모를 끌어 내며 시류를 상실한 리스너의 소심한 클럽파티를 연상케 한다. They have reinterpreted the melodies and lyrics of Jongmyojeryeak, the royal shrine music of the Joseon dynasty; and Namchang Gagok, a Korean traditional vocal genre that has always been performed exclusively by men. 해파리 HAEPAARY's music brilliantly disentangles the rigid formality and discipline of Confucian music, rearticulating the old through rave and trance. It’s a new ritualistic universe that’s heavy but light, strict but free, restrained but inviting dance - a universe of contradictory desires.
걷기(Walking [waw-king]) 명사/형용사-돌아다니기-심심풀이로 거닐기-이동의 수단-재인식-삶의 방식이 세 명의 곡예사는 걷기의 인류학을 탐구한다. 우리는 왜 걸어야 할까? 그리고 얼마나 오래 걸어야 할까? 걷기는 지상 아크로바틱, 연체 곡예와 핸드 투 핸드 등의 아크로바틱 표현을 통해 앞으로 나아감을 표현한다. 이 작품은 그 자체로 대중화된 걷기의 인류학이 되기를 바란다. 즉 사회와 개인, 그리고 그 모든 것에 대한 중요성과 결과를 신선한 에너지와 젊음을 통해 생각하는 성찰의 순간이 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몬트리올 서커스 페스티벌, TOHU 페스티벌과 FiraTarrega 페스티벌에서 제작을 지원했으며 몬트리올 예술 협회와 퀘벡 정부의 지원으로 완성되었다. Walking [ waw-king ] noun / adjective - Wandering- strolling for fun- a means of displacement- of revindication- a way of life This trio of acrobats explore the anthropology of walking. Why must we walk ? And for how long ? La marche is about moving forward through an acrobatical language including ground acrobatics, contortion and hand to hand. It wants itself to be a popularized anthropology of walking, a moment of reflection to think about its importance and consequence on a society, on an individual, and all of that with a fresh energy and youth.
“어쩌면 우리 모두 이민자이다.”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에 국한된 ‘이민자’에 대한 시선과 선입견을 재조명한 작품이다. 다문화 도시 안산에 사는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의 인터뷰를 활용하여, ▲방황하고 이동하는 우리의 불안한 모습, ▲당면한 현재의 삶을 헤쳐 나가는 순간을 예술적으로 풀어냈다. 어쩌면 우리 모두에게 해당될지도 모르는 이민자적인 삶에 대한 고찰을 담았다.“Maybe we're all immigrants.” "I'm an Immigrant, Too!" sheds new light on the attention and prejudices against immigrants and foreigners living in South Korea. Utilizing interviews with people of diverse nationalities living in multicultural Ansan, the group artistically gets to the bottom of ▲their anxiety as they wander and move, and ▲ the moments they endure in their current lives. The work contemplates the lives of immigrants, something that may apply to us all.
사라진 흔적들과 새롭게 돋아나는 것들 사이에서 도래할 미래의 어떤 순간을 조명한 이동식 설치극이다. 도시화와 공업화로 사라진 안산시 사리포구와 그 공간에 얽힌 삶의 풍경들을 현재의 안산시 호수공원을 걸으며 만난다. "Drift Department Store" is a promenade installation that sheds light on certain future moments that appear between disappearing remnants of life and new emerging phenomena. Walking through what is currently Ansan Lake Park, spectators relive the memories of Saripogu, which has disappeared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nd the landscapes intertwined with that space.
잊고 있던 목소리 속에서 근원적 에너지를 재발견하는 보이스 워크숍이다. 도심 속 자연에서 늑대처럼 맘껏 소리를 뿜어내며 다양한 소리를 발견하고, 즉흥적인 소리로 주변 사람과 공명하며 연결되는 근원적 기쁨을 찾아간다."MOMSORI workshop_Howling" is a voice workshop that helps spectators rediscover the long-forgotten fundamental energy in voices. Within nature in the heart of the city, people discover diverse sounds within themselves by howling to their heart's content as wolves do. And with improvisational sounds, people find the fundamental joy of connecting with each other as they resonate with those around them.
“몸을 풀자! 몸으로 PLAY!” 아빠랑 몸플은 움직임+이야기+만들기로 이루어진 통합 예술 체험이다. 아이와 놀아주고는 싶은데 어떻게 놀아줘야 하는지 모르는 아빠를 위한 프로그램이다. 아이들은 놀이와 예술로 아빠와 접촉하며, 엄마와는 다른 신체ㆍ정서적 교감을 경험하게 된다."Let's MoMple! Warm up and play!". "MoMple with Daddy" is an integrated art experience consisting of movement, storytelling, and creation. It is a program for fathers who want to play with their children but are unsure of how to go about it. Children come into contact with their fathers through play and art, and experience a physical and emotional bond distinctive from those with their mothers.
“지금 이 순간 나를 통과하는 감각의 풍경들을 따라 춤으로 연결되는 시간.”각기 다른 행성과 같은 몸들이 만나 서로에게 접촉하는 순간 피어나는 즉흥춤을 통해, 지금 이 순간에만 발생하는 존재의 움직임을 서로가 목격하고 지지하며 연결하는 접촉즉흥춤 워크숍이다.“A time for me to turn the landscapes of sensation currently going through me into a dance.” "Bodies landing in the Present" is a contact improvisation dance workshop where the dancers mutually witness, support, and connect the movements of things that are happening in the now via improvisation dance that blooms the moment bodies meet and come into mutual contact like different planetary bodies.
누군가 세상을 떠난 후 남겨진 사람들의 남은 이야기를 담은 이동형 거리극이다. 출연진은 각자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와 이미지를 움직임으로 시각화하고 나레이션으로 설명한다. 관객으로 하여금 죽음과 삶에 대해 돌아보게 하는 작품이다.“Being left” is a promenade street theatre portraying the stories of those left behind after someone passes away. The cast visualizes the story and images of each death with their movements as a narrator explains. This work motivates the audience to reflect on life and death.
프란츠 카프카의 짧은 글 ‘돌연한 출발’에서 시작한 인형극이다. 낭만ㆍ만남ㆍ휴식의 공간인 텐트에서 펼쳐지는 한 인간의 여행을 인형극을 통해 보여준다. ※ 공연 중 포그머신과 스트로브 조명을 사용하오니 관람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he Departure" is a puppetry inspired by Franz Kafka's short story of the same name. In a tent, a space representing romance, encounter, and rest, this puppetry demonstrates a man's journey. ※ Please note that this performance uses fog machines and strobe lights.
“그 많던 개구리들은 어디로 갔을까?” 지구를 떠난 개구리 친구를 기리고, 남은 개구리 친구를 불러모으는 ‘어느 개구리’의 여정을 그린 이동형 공연이다.“Where did all the frogs go?”"A Song of The Frog" is a Promenade Performance portraying the journey of a frog that pays respect to a frog friend who has died and calls on its remaining frog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