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엄격한 형식과 규율로 점철된 유교 음악에 레이브와 트랜스의 청 각적 어법을 결합한 해파리의 트랙들은 정제된 가무악에 숨겨져 있던 팝의 면모를 끌어 내며 시류를 상실한 리스너의 소심한 클럽파티를 연상케 한다. They have reinterpreted the melodies and lyrics of Jongmyojeryeak, the royal shrine music of the Joseon dynasty; and Namchang Gagok, a Korean traditional vocal genre that has always been performed exclusively by men. 해파리 HAEPAARY's music brilliantly disentangles the rigid formality and discipline of Confucian music, rearticulating the old through rave and trance. It’s a new ritualistic universe that’s heavy but light, strict but free, restrained but inviting dance - a universe of contradictory desires.
잊고 있던 목소리 속에서 근원적 에너지를 재발견하는 보이스 워크숍이다. 도심 속 자연에서 늑대처럼 맘껏 소리를 뿜어내며 다양한 소리를 발견하고, 즉흥적인 소리로 주변 사람과 공명하며 연결되는 근원적 기쁨을 찾아간다."MOMSORI workshop_Howling" is a voice workshop that helps spectators rediscover the long-forgotten fundamental energy in voices. Within nature in the heart of the city, people discover diverse sounds within themselves by howling to their heart's content as wolves do. And with improvisational sounds, people find the fundamental joy of connecting with each other as they resonate with those around them.
“몸을 풀자! 몸으로 PLAY!” 아빠랑 몸플은 움직임+이야기+만들기로 이루어진 통합 예술 체험이다. 아이와 놀아주고는 싶은데 어떻게 놀아줘야 하는지 모르는 아빠를 위한 프로그램이다. 아이들은 놀이와 예술로 아빠와 접촉하며, 엄마와는 다른 신체ㆍ정서적 교감을 경험하게 된다."Let's MoMple! Warm up and play!". "MoMple with Daddy" is an integrated art experience consisting of movement, storytelling, and creation. It is a program for fathers who want to play with their children but are unsure of how to go about it. Children come into contact with their fathers through play and art, and experience a physical and emotional bond distinctive from those with their mothers.
“지금 이 순간 나를 통과하는 감각의 풍경들을 따라 춤으로 연결되는 시간.”각기 다른 행성과 같은 몸들이 만나 서로에게 접촉하는 순간 피어나는 즉흥춤을 통해, 지금 이 순간에만 발생하는 존재의 움직임을 서로가 목격하고 지지하며 연결하는 접촉즉흥춤 워크숍이다.“A time for me to turn the landscapes of sensation currently going through me into a dance.” "Bodies landing in the Present" is a contact improvisation dance workshop where the dancers mutually witness, support, and connect the movements of things that are happening in the now via improvisation dance that blooms the moment bodies meet and come into mutual contact like different planetary bodies.
누군가 세상을 떠난 후 남겨진 사람들의 남은 이야기를 담은 이동형 거리극이다. 출연진은 각자의 죽음에 대한 이야기와 이미지를 움직임으로 시각화하고 나레이션으로 설명한다. 관객으로 하여금 죽음과 삶에 대해 돌아보게 하는 작품이다.“Being left” is a promenade street theatre portraying the stories of those left behind after someone passes away. The cast visualizes the story and images of each death with their movements as a narrator explains. This work motivates the audience to reflect on life and death.
“그 많던 개구리들은 어디로 갔을까?” 지구를 떠난 개구리 친구를 기리고, 남은 개구리 친구를 불러모으는 ‘어느 개구리’의 여정을 그린 이동형 공연이다.“Where did all the frogs go?”"A Song of The Frog" is a Promenade Performance portraying the journey of a frog that pays respect to a frog friend who has died and calls on its remaining frog friends.
“생명의 흔적은 출구를 알리는 이정표가 되어줄 것입니다.” 동물이 세상의 주인인 세계로 떨어진 주인공이 원래의 세계로 돌아가기 위해 동물 흉내를 내며 분투하는 내용의 연극이다.“The traces of life will serve as milestones that point towards the exit.” "Hang in, hang in" is a play where the main character, who has found himself in a world ruled by animals, struggles to return to his original world by imitating animals.
다브다가 만들어내는 혼돈과 아름다움은 포스트록으로 연주하는 시가 되며, 일상의 풍부한 색채를 더해 주는 반가운 리듬과 호흡이 된다. 특유의 반짝이는 기타 리프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도 음악의 구조적 변화에 매우 예민하게 반응해 곡의 후반부까지 끊임없이 우회하며 도달하기를 즐긴다. 변주와 확장 모두에 능한 이들의 진가는, 광활한 사운드와 기하학적인 구성이 유기적으로 출렁대는 라이브에서 명징하게 확인할 수 있다.The chaos and beauty created by Dabda turn post-rock into poetry, and the band's pleasant rhythms and voices inject exuberant colors into daily life. With their signature sparkling guitar riff, Dabda responds keenly to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ir music, and enjoys taking detours in the second halves of their songs. Dabda's mastery of playing both variations and expansions of the melody is clear in their live acts, where their spacious sound and geometric structure organically oscillate.
장애인 무용수와 비장애인 무용수가 함께 춤춘다. 이본 라이너의 트리오A>를 휠체어에 탄 움직임으로 ‘번역’함으로써 어떤 움직임이든 춤이 될 수 있다는 움직임의 평등을 현시하고, 무용의 역사에서 춤추는 몸이 어떤 몸으로 상정되어왔는지 질문한다.Disabled and non-disabled dancers dance together in this piece. By "translating" Yvonne Rainer’s "Trio A" into movements in a wheelchair, "Becoming-dancer" pushes for equality in movement and demonstrates that any movement can be a dance. In doing so, the performance asks what bodies have been considered acceptable throughout the history of dance.
기후위기 시대를 살아가는 개인의 내면에 휘몰아치는 혼란과 혼돈을 시(時)적 상상력으로 엉뚱하게 그린 작품이다. ▲엉켜버린 생각 ▲불확실한 사회구조와 제도에 대한 불신 ▲자기 불신과 자기기만 ▲아무런 믿음 없이 맴도는 의혹의 악순환 등 모든 것이 수상하게만 느껴지는 세상을 바라보는 개인의 내면적 갈등을 깊이 들여다보고 유쾌하게 드러냄으로써 우리 사회의 부조리함에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El Nino in Suspicious Land" is a performance depicting the times of confusion and chaos raging inside an individual in this era of the climate crisis. In an era of climate crisis when no news seems trustworthy, individuals are overcome with internal conflict due to a vicious cycle of ▲muddled thoughts, ▲distrust of uncertain social structures and systems, ▲distrust and deception of themselves, ▲and hovering suspicions unmitigated by trust. By exploring and unveiling these personal inner conflicts, "El Nino in Suspicious Land" questions the corruption in our society.